2009-12-22 오전 2:09:48 Hit. 6399
현대차 노사가 우여곡절 끝에 15년만에 무분규로 임단협을 타결했다노사는 21일 울산공장 아반떼 룸에서 21차 단체교섭을 갖고 기본급 동결, 상여금 300% 일시급 500만 원 무상주 40주 지급 등을 골자로 한 임금단체협상을 타결했다. 이날 교섭에서 노조는 회사가 지난주 제시한 기본급을 올리지 않는 임금동결안에 반발하면서 휴회를 선언하고 회의장 등을 떠나는 등 수차례 정회와 속개를 거듭하는 진통을 겪었다. 무려 13시간 동안 마라톤 협상 끝에 사측은 단체교섭 무분규 타결 관련 일시급과 무상주를 추가 지급하는 수정안을 내놓으면서 끝내 노조와 합의에 이르렀다노조는 지난 11일 사측이 기본급 동결과 성과급 300% 일시급 200만 원 지급이라는 일괄안을 제시하자 미흡한 수준이라며 반발해 쟁의조정을 신청한 바 있다. 이후 21일 교섭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제시하지 못할 경우 임시대의원대회와 찬반투표를 거쳐 이달말 파업에 돌입하겠다는 강수를 꺼내기도 했다. 현대차는 노조 설립 이후 처음으로 기본급을 동결하기로 결정했고 (98년 정리해고 사태 제외) 지난 94년 이후 15년 만에 임단협을 무분규 타결했다. 기본급 동결과 무분규 타결이 이뤄진데는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와 더불어 노조 내부 상황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노조는 당초 사 측에게 사상최대의 실적을 올린 만큼 이에 상응하는 보상해야 한다고 요구했었다. 하지만 강호돈 부사장은 직접 담화까지 발표하고 정부세제 지원의 가장 큰 수혜를 입은 상황에서 지금의 결과만을 놓고 성과배분을 이야기 한다면 국민적 반감에 직면할 수 밖에 없다며 노조를 설득해 왔다. 또 노조 입장에서는 올해 6월 윤해모 전 지부장이 임기중 돌연 사퇴를 선언하면서 집행력이 약화된데다 시간적 여유도 촉박했었다. 윤 지부장의 사퇴 이후 조기선거체제가 구축되면서 9월말 온건 실리노선으로 분류되는 이경훈 현 지부장이 당선됐고 교섭도 지난달 재개돼 연내 타결 전망이 불투명했던 것이다.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장규호 대변인은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압박 속에 파업이냐 연내타결이냐를 두고 힘들게 고민한 만큼 조합원들의 현명한 판단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사 측 역시 "불투명한 경영환경 속에서도 노사가 내놓은 경영환경인 만큼 조합원들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밝혔다.노조는 오는 23일께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임단협 잠정합의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실시한 뒤 가결될 경우 곧 조인식을 가질 예정이다. 민노총 산하 최대 투쟁동력인 현대차 노조에 15년 만에 온건 실리 집행부 탄생과 함께 임단협 무분규 타결을 동시에 이뤄내면서 앞으로 국내 투쟁적 노사관계에도 어떤 영향을 미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불량게시글신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