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1-19 오전 11:00:37 Hit. 5302
[USB로더]USB 외장장치(하드 usb메모리, usb젠더+sd카드등)에 들어 있는 게임 이미지를 wii에서 구동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그램.간략한 종류는? USB Loader GX / Configurable USB LOADER / uLoader / Wiiflow 등 자세한 로더별 특징은 아래 글 참조.
[필수ios 설치 툴] : IOS 는 게임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라고보시면 됩니다. 게임별로 필요한 IOS가 있기때문에. 지원가능한 IOS를 설치해야함.로더를 돌리기 위한 최소 IOS는IOS30IOS31IOS33IOS34IOS35IOS36IOS38IOS202IOS222IOS223IOS249펌웨어 버전별로 틀리니 단순 참고만 하시길...
[기타유틸]gecko OS : DVD(구운것) 로더, 개조가 안되어도 이것이있다면 구운 게임을 할수있다.I/S WAD : WAD 관리툴, wad를 삭제&설치 가능하게해줌AnyTitle Deleter : 낸드관리툴. 대부분의 것들을 삭제할수있음 (IOS 같은것)Bootmii : 벽돌방지 툴. 설치전의 wii는 낸드를 통해 부팅하지만 bootmii 가 있으면 SD로 부팅할수있다. 백업/복구 기능이있어 벽돌되면 복구 가능. 정발 v2 펌웨어경우 아직은 사용불가.Loadstructor : 해당 게임에 대한 로더+단축아이콘 기능을 합쳐 채널메뉴에 나오게함. SD카드에 로더가없어도 이것만 있으면 해당게임에대해 설치한 WAD 툴만으로도 플레이가 가능함.
Wii Scrubber : wii 게임파일(iso)내용을 볼수 있고. 원하는 파일만 추출할 수 있음. dol 파일 패치가필요한 게임때문에 dol 추출시에 자주쓰임.
Homebrew Channel(HBC) : SD 카드의 apps 폴더안에있는 유틸들을 실행시켜줄수있는 프로그램.
Homebrew Browser(HBB) : 온라인상으로 여러종류의 홈브류,게임,툴 등을 다운로드 및 관리가능하게해줌.(NexTOS님제보)
WBFS Manager : 하드또는 USB 를 wii 용 타입으로 포맷해주고 PC의 iso 파일을 하드에 변환하여 담을수있게 해주는 유틸.
wiikey changer : 리젼프리해주는 툴. 정발용은 이툴로 [a 엔터 => f 엔터] 작업을 해야만 WBFS 로 불러올수있다.
WAD Manager : SD 카드에있는 wad 폴더안의 .wad 확장자 파일을 wii 낸드에 설치할수 있게해줌. (wad 는 IOS 및 유틸 이라고 보면됨). 최신버젼은 굳이 wad 폴더안에없어도 SD카드를 탐색하여 wad파일을 선택->설치 할수있다.
wii packer : WAD 파일을 정발에서도 구동되게 패치해줌.(정발에서는 튕기거나 하는 wad 들이있습니다)
DOP IOS : 닌텐도 서버에서 IOS 를 다운로드&설치 가능하게해주는 프로그램. (IOS 부분은 함부로 만지지않는게 좋습니다)Code Downloader : 치트코드 다운로드 프로그램.WGLP : Trucha Signer으로 게임파일에서 추출한 main.dol 파일의 언어를 바꿔주는 프로그램.Trucha Signer : WGLP 에서 변경한 main.dol 파일을 다시 합쳐주는 프로그램.
Wii Update Manager(WUM) : 게임iso 파일을 검사하여 업데이트를 요구하는지 아닌지 검사해주는 프로그램.Wii Brick Blocker(WBB) : 게임iso 파일의 펌웨어업데이트를 제거하여 벽돌방지를 할수있다. WUM 으로 검사후 WBB로 벽돌방지.
Savegame Manager : 게임 save 데이터를 wii <-> SD로 카피할수있는 유틸추천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고들 하네요^^;;
불량게시글신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