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널판타지아에 처음 오셨거나 아직 생소하신 분께서는 최소한 공지사항만큼은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공지사항에 나와 있는 내용을 그대로 반복적으로 질문할 경우 경고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을 읽어봤지만, 그래도 궁금하다하시는 점은 우선 검색을 해보시고
검색으로는 만족스런 정보를 찾지 못하셨다면 최대한 자세한 내용으로 작성한 질문을 올려주시면 됩니다.
Wii 게시판을 보면 다양한 정보들이 있지만 원하는 정보들을 찾기가 어려운 초보자들이 많아서 FAQ 형태로 정보들을 정리했습니다.
파이널판타지아에 가입하신 Wii 입문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Wii 홈브류란 무엇인가요???

홈브류(Homebrew)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게임기능 이외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할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유틸리티라 할 수 있습니다.
홈브류 설치를 위해서는 북미, 유럽, 일본판 등의 젤다의 전설 황혼의공주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
해외에 발매된 WII의 경우 해당 지역의 젤다의 전설로 모드칩 장착없이 바로 홈브류 설치가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로더로 불리는 홈브류들을 설치하게 되면 지역이 다른 게임타이틀이나 복제된 타이틀을 구동할수 있습니다.
이것을 일명 소프트칩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다소 기능적인 제한이 있고, 새로운 게임들을 구동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2. 내가 가지고 있는 Wii에 홈브류를 설치할 수 있나요???Wii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펌웨어 버전에 따라서 홈브류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먼저 2009년 6월 15일 이전과 이후 출시제품 구분하기 입니다.
외형상으로 가장 큰차이는 전파혼신 안내문에 제조년월 유무입니다.
이전 버젼은 제조월이 표시되어 있고 이후 버젼은 안내문만 있습니다.
2009년 6월15일 이후 출시된 제품의 경우 초기에는 홈브류의 구동이 불가능했습니다만 지금은 09년 6월 이후에 생산된 3.5Kv2 버전도 홈브류 설치가 됩니다.
닌텐도Wii의 생산 날짜와 펌웨어 버전에 따라서 총 7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고 홈브류 설치가 가능합니다.
① 2009년 6월 이전에 생산된 버전으로 펌웨어 3.5K v1 버전 이하
http://www.finalfantasia.com/board/view.aspx?id=lecture&rno=426 ② 2009년 6월 이전에 생산된 버전으로 펌웨어 4.1K 버전
http://www.finalfantasia.com/board/view.aspx?id=wiiinfo&rno=224
⑧ 2010년 7월 이후 생산된 버전으로 펌웨어 4.3 시리즈
⑨ Wii 4.3K 홈브류채널 복구 방법
3. 펌웨어 정보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Wii 옵션으로 들어가면 본체설정 우측 상단에 펌웨어 버전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4. 홈브류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wad와 .dol 파일은 뭔가요?
9. 홈브류를 설치했는데 백업DVD도 돌아가나요???
10. 하드로더는 뭔가요???
DVD를 읽어들이는 렌즈를 보호하거나, DVD 소프트웨어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드디스크나 USB에 백업게임(ISO)을 저장하여 DVD없이 하드디스크를 통해서 게임을 구동시켜주는 프로그램입니다.
Wii에서 사용하는 하드로더는 uLoader, USB Loader GX, cfg Loader, Wii Flow, Neo Gamma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관련 정보>
USB 외장하드에 게임 넣기
12. 정발판 Wii 에서도 게임큐브 게임을 할 수 있나요?
해외판 Wii에서는 쉽게 게임큐브 게임들을 이용할 수 있으나 정발판 Wii에서는 게임큐브를 구동할 수 있는 기능이 삭제되어 별도의 백업런처를 사용해야 합니다.
13. Wii 에서 MP3를 듣거나, DVD 영화를 볼 수 있나요?
Wii에서는 MP3나 Divx 등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이용하려면 Mplayer CE라는 홈브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MPlayer_CE V0.76 설치 .. (채널등록)>
http://www.finalfantasia.com/board/view.aspx?id=lecture&rno=431
14. Wii 벽돌(Brick)이 뭔가요?일부 게임타이틀에는 시스템 업데이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지역의 기기에서 해당지역의 타이틀로 업데이트를 했을때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한국 정발게임기에서 한국발매된 게임타이틀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업데이트 한다면 절대 벽돌현상은 생기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드칩을 장착한 후 해외판들도 읽어 들일수 있는 상태에서 해외판 타이틀로 시스템을 업데이트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쉽게 말해서 PC에 한글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데,영문판 윈도우 업데이트를 추가 한다면 폰트가 깨진다던지 최악의 경우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벽돌현상은 이와 같은 현상입니다.
반벽돌(semi-brick)과 완전벽돌(full-brick)으로 나눠지는데, 반벽돌은 일부 파일의 경로만 변경이 되어 오작동을 하는 문제를 가져오고 완전벽돌의 경우 시스템버젼이 완전 교체되어 부팅시 장치를 불러오지 못하기 때문에 부팅조차 되지 않는 상태가 됩니다.
반벽돌의 경우 필수 파일을 재복사 하는 방식으로 일부 복구가 가능하지만, 완전 벽돌의 경우 현재로써 간단히 복구할 방법은 없습니다.
시스템 부팅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NAND메모리에 직접 연결하여 Nand Rebuild 를 하는 방법밖에는 아직 대책이 없습니다만, 이 또한 아주 전문지식과 장비가 필요합니다.
벽돌현상을 방지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1. 정발 게임기에서는 한글판 게임만 한다.
2. 업데이트가 포함되지 않은 게임만 한다.
3. 업데이트 방지 패치한 게임만 한다.
4. 벽돌 방지 기능이 포함된 Wiikey2등의 모드칩을 장착한다.
** 업데이트 방지 패치란 : 게임의 ISO 이미지를 레코딩전에 WBB(Wii Brick Brock) 유틸리티를 이용해서 업데이트를 삭제하고 레코딩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양한 툴들이 공개 되어 있습니다.
http://www.finalfantasia.com/board/view.aspx?id=lecture&rno=429
<2012. 2. 16 수정 - 사이트 리뉴얼로 인한 링크 주소 재설정 by 샤아아즈나블>
<2012. 2. 25 수정 - 사이트 리뉴얼로 인한 링크 주소 재설정 by 샤아아즈나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