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9-20 오전 8:51:44 Hit. 40110
안녕하세요..
그동안 눈팅만 하다가 많은 분들이 FTP사용하는것을 어렵게 생각하시는거 같아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마음으로 몇자 적어봅니다..
제 회사가 공유기 및 기타 네트웍 주변기기 관련된쪽이라...이건뭐 눈감고도 하는것들이라..
일단 개념정리부터 하겠습니다.
*공유기가 있을떄
- 1.보통 내부 클라이언트 라인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편합니다.
FTP서버는 TCP21번을 사용합니다. 때문에 일반적인 인터넷-PC-PS3라면 상관없겠지만 공유기는 NAT라는 기능때문에 일종의 방화벽이라고 볼수있는 기능때문에 가끔 21번 포트가 막혀있을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설명은 일단 공유기에 연결된 내부 클라이언트(PC및PS3 등)에서 설정내용입니다.
기본적인 네트웍 설정은 다 되어있다는 기준에서 시작하겠습니다...이부분까지 설명하면...너무 방대할거 같아서..
1. 탈옥관련된 사항을 정상적으로 진행
2. PS3용 FTP서버 프로그램(PS3탈옥) 설치(설치방법은 여기 게시판 검색 추천)
3. FTP서버 프로그램 실행-START SERVER 버튼 클릭- 본격적 서버실행됨.
(화면전면에 서버IP주소가 나타나있으니 반드시 확인 및 기록)
4. PS3로 접속하고자 하는 클라이언PC OS에 일반 FTP프로그램 설치
5. 설치된 임의의 FTP프로그램으로 접속
-알FTP 프로그램의 경우-
6-1.알FTP프로그램 실행-좌측상단>접속하기 클릭
6-2.FTP주소:PS3에서 실행한 FTP프로그램에서 FTP서버 주소 확인.
사용자 ID:없음, (공란), 우측면에 "익명연결" 체크
비밀번호:없음,(공란)
포트번호:21
프로토콜:자동
[확인]버튼 클릭!
* Passive Mode는 하셔도 되고 안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내부 접속자끼리는 관계가 없습니다.
외부 접속시 따로 설명에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7.정상적으로 접속되는지 확인. 제데로 접속하였다면 리눅스 OS처럼 /hdd~~ 이런 폴더들이 나타납니다.
여기 게시판을 보니깐 2가지 정도의 FTP프로그램을 사용하는거 같은데 제생각은 아무상관없는것으로 보여집니다...물론 프로그램 마다 편리한 인터페이스, 최적화된 프로그래밍화 속도...UI디자인 등...
전 귀찮아서..알FTP로 하였구요...꾸준히 9~10M대로 나오네요.. 프로그램 사용 선택은 여러분 자유입니다.
어차피 FTP로 뚫어놓은거니 뭐든지 간에 그거에 맞는걸로만 넣으면 되는겁니다..
FTP외부에서 접속해서 PS3로 업로드시 위의 내용과 약간 추가될 항목이 있습니다.
이부분은 사용중인 공유기 의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될것 같네요..
간단한 개념적으로 설명 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공유기에 연결된 PS3의 IP주소 확인
2. 공유기의 NAT(방화벽)기능에서 DMZ호스트 및 글로벌IP주소/슈퍼DMZ/리얼IP주소 기능으로 PS3의 IP주소로 지정하여 설정.
2번의 경우 위의 설명에서도 나와있지만 공유기는 NAT기능으로 외부와는 포트가 막혀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부분의 포트를 확인하여 활성화 하거나 포트포워딩 및 DMZ호스트 같은 공유기의 기능으로 풀어주셔야 정상적으로 이용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3. 2번의 설정이후 공유기의 메뉴중 시스템연결정보 같은 메뉴를 확인하여 공유기가 받아온 공인IP주소를 확인 및 기록(따로 메모)
-192.168.XXX.XXX 가 아닌 (예)공인IP주소: 211.165.23.148-
4. 알FTP실행후 위의 설정내용에서 6-2번에 FTP주소부분만 3번에서 확인한 공인IP주소로 입력
나머지는 6-2번 동일하게 설정.
외부에서 접속을 왜 하는지?
-자택 인터넷속도가 너무 느려서 외부 빠른 네트웍의 환경에서 접속시 PS3가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사용성의 강조만 될뿐 실제로는 불편해서 잘 안사용될거 같네요. 또한 이럴때는 PS3는 서버상태로 계속 켜져있
어야 겠죠.
*공유기가 없다거나 스위칭허브 제품만 있을때
설명을 먼저 하기 전에 사용자 분들께서 허브제품도 없는 경우가 있다면 PC-PC FTP서버 설정 같은 내용으로 인터넷검색을 추천합니다..
마찬가지로 내용이 너무 방대해져서요..
그외 게시판에서 이슈되고있는 부분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랜케이블...
1. PC와PC, PC와 PS3..에서 랜케이블 연결은 크로스 케이블입니다...
2. PC와 공유기/허브 제품은 다이렉트 케이블입니다..
이부분이 게시판상으로 내용이 좀 많더군요. 좀더 구체적인 내용으로 들어가자면 2번의 경우 크로스케이블도 해당됩니다.
지금 나오는 공유기 혹은 몇년전까지 나온공유기들은 내부 RJ-45포트에는 다이렉트/크로스 인식 기능이 존재를 해 2000년 초반에 나왔던 다른 제품과 달리 랜케이블을 구별하여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겁니다...
단 허브이상급의 제품을 사용한다는 환경에서입니다...
또한 몇몇분들의 경우 기가비트 랜카드로 연결시 속도향상이 있다고 하시는데...어느정도 속도 향상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서버-클라이언트 2개의 인터페이스가 같으 gigabit 랜이어야 해당사항이 있습니다.
한가지의 랜이 기가비트 라고 해서 그 일부 설정(점보프레임 등)해준다고 해서 큰 속도향상은 없는것이 이론적입니다...
저도 아직 기가랜으로는 확인안했봤지만서도..만약 그렇게 사용해서서 일반 10/100m의 랜보다 속도향상이 많이 나타난다면 확인해봐야겠네요...회사에 남는 기가랜이 많아서..
마땅히 도움이 될만한 내용인지 모르겠습니다.
구체적인 내용들은 이글 말고도 여기 게시판 및 포털사이트 에서 검색을 하셔도 좋은 강좌 내용들이 많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불량게시글신고
·댓글